Lupus에 대한 일반적 설명은 생략하고 lupus nephritis의 병리학적 진단 및 분류에 대해서만 다룰 것이다. Lupus nephritis에서는 신장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는 거의 모든 병리학적 소견이 나타난다. 사구체와 tubulointerstitum, 혈관 등 신장의 모든 구성성분에서 염증에 의한 조직의 손상 소견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이들 염증반응은 immune complex 침착과 연관되어 있으며 다른 어떤 신장질환보다도 다양하고 많은 양의 immune complex가 침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Lupus nephritis라는 진단은 임상소견과 병리학적 소견을 종합하여 판단하는 것으로서 임상정보 없이, 또는 임상적으로 lupus가 아닌데 병리만으로 진단을 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러므로 병리학적으로 lupus nephritis의 가능성이 보이는데(아래 병리소견 참조) 아직 임상 정보가 명확하지 않을 때는 병변을 기술하고 “suggestive of lupus nephritis” 정도의 용어를 사용해 추가적인 임상 정보와 함께 판단해야 함을 표시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lupus nephritis가 진단된 후에는 치료 방침 결정에 도움이 되도록 classification을 하고 activity를 판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것이 ISN/RPS classification과 NIH activity/chronicity index이다. 전체적인 병리소견을 기술하고 ISN/RPS와 NIH index를 추가로 기술하겠다.
LM
IF
EM
CLASS